
육미의 허실교추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의
육미는 육장육부 및 기의길과 친화력이 있음
▹ 육미의 역할: 친화력이 있는 맛


육미의 허실교추: 교
▹ 육미의 역할: 도와주는 맛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는 서로 도와주기도 하면서 맛을 좋게하고 깊게함
신맛은 부드럽게 이완시킵니다. 대표적인 맛으론 식초이고, 간장담낭과 친화력이 있는 맛입니다.
신맛은 따뜻하게 발산시킵니다. 대표적인 맛으론 커피이고, 심장소장과 친화력이 있는 맛입니다.
단맛은 뭉치고 고정시킵니다. 대표적인 맛으론 설탕이고, 비장위장과 친화력이 있는 맛입니다.
매운맛은 단단하게 긴장시킵니다. 대표적인 맛으론 고추이고, 폐장대장과 친화력이 있는 맛입니다.
짠맛은 말랑하고 연하게 합니다. 대표적인 맛으론 소금이고, 신장방광과 친화력이 있는 맛입니다.
떫은맛은 오미를 조화롭게합니다.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를 서로 도와주기도 하면서 맛을 좋게하고 깊게합니다.


신맛과 쓴맛은 서로 도와줍니다. 즉 신맛은 쓴맛을 도와주고, 간장과담낭이 좋아지면 심장과소장도 좋아집니다.
쓴맛과 단맛은 서로 도와줍니다. 즉 쓴맛은 단맛을 도와주고, 심장소장이 좋아지면 비장위장도 좋아집니다.
단맛과 매운맛은 서로 도와줍니다. 즉 단맛은 매운맛을 도와주고, 비장위장이 좋아지면 폐장대장도 좋아집니다.
매운맛과 짠맛은 서로 도와줍니다. 즉 매운맛은 짠맛을 도와주고, 폐장대장이 좋아지면 신장방광도 좋아집니다.
짠과 신맛은 서로 도와줍니다. 즉 짠맛은 신맛을 도와주고, 신장방광이 좋아지면 간장담낭도 좋아집니다.
떫은맛은 오미를 조화롭게합니다.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를 서로 도와주기도 하면서 맛을 좋게하고 깊게합니다.
육미의 허실교추: 추
▹ 육미의 역할: 밀어내는 맛


매추신: 매운맛은 과하면 넘쳐서 신맛으로 쳐들어갑니다. 즉 매운맛은 폐장대장과 친화력이 있으나 과하면 넘쳐서 간장담낭을 약하게 합니다.
짠추쓴: 짠맛은 과하면 넘쳐서 쓴맛으로 쳐들어갑니다. 즉 짠맛은 신장방광과 친화력이 있으나 과하면 넘쳐서 심장소장을 약하게 합니다.
신추신: 매운맛은 과하면 넘쳐서 신맛으로 쳐들어갑니다. 즉 매운맛은 폐장대장과친화력이 있으나 과하면 넘쳐서 간장담낭을 약하게 합니다.
쓴추매: 쓴맛은 과하면 넘쳐서 매운맛으로 쳐들어갑니다. 즉 쓴맛은 심장소장과 친화력이 있으나 과하면 넘쳐서 폐장대장을 약하게 합니다.
단추짠: 단맛은 과하면 넘쳐서 짠맛으로 쳐들어갑니다. 즉 단맛은 비장위장과친화력이 있으나 과하면 넘쳐서 신장방광을 약하게 합니다.
떫은맛은 오미를 조화롭게합니다.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를 서로 도와주기도 하고, 밀어내기도 하면서 맛을 좋게하고 깊게합니다.

• 방추억교 :오미의변으로 변화된 인체를 여섯가지맛으로
조화롭게 하여 본래의 감을 찾는 것
• 떫은맛: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을 도와주고 밀어내어 오미를 조화시킴


육미의 방추억교: 방
육미의 방추억교: 방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는 친화력이 있는 장부를 스스로 방어합니다.
- 신맛이 부족하면 매운맛이 쳐들어가서 신맛이 약해집니다. 쓴맛은 쳐들어온 매운맛을 억제합니다.
신맛과 매운맛을 억제하는 쓴맛과 서로 도와서 간장담낭 심장소장을 도와줍니다.
- 쓴맛이 부족하면 짠맛이 쳐들어가서 쓴맛이 약해집니다. 단맛은 쳐들어온 짠맛을 억제합니다.
쓴맛과 짠맛을 억제하는 단맛과 서로 도와서 심장소장 비장위장을 도와줍니다.
- 단맛이 부족하면 신맛이 쳐들어가서 단맛이 약해집니다. 매운맛은 쳐들어온 신맛을 억제합니다.
단맛과 신맛은 억제하는 매운맛과 서로 도와서 비장위장 페장대장을 도와줍니다.
- 매운맛이 부족하면 쓴맛이 쳐들어가서 매운맛이 약해집니다. 짠맛은 쳐들어온 쓴맛을 억제합니다.
매운맛과 쓴맛은 억제하는 짠맛과 서로 도와서 폐장대장장 신장방광을 도와줍니다.
- 짠맛이 부족하면 단맛이 쳐들어가서 짠맛이 약해집니다. 신맛은 쳐들어온 단맛을 억제합니다.
짠맛과 단맛은 억제하는 신맛과 서로 도와서 신장방광 간장담낭을 도와줍니다.
- 떫은맛은 오미를 조화롭게합니다.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를 서로 도와주기도 하면서 맛을 좋게하고 깊게합니다.
육미의 방추억교: 방


신맛은 스스로 방어해서 부드럽게 이완시킵니다. 대표적인 맛으론 팥, 밀, 보리이고, 간장담낭과 친화력이 있어 간장길담낭길을 좋게하는 맛입니다.
신맛은 스스로 방어해서 따뜻하게 발산시킵니다. 대표적인 맛으론 수수이고, 심장소장과 친화력이 있어 심장길소장길을 좋게하는 맛입니다.
단맛은 스스로 방어해서 뭉치고 고정시킵니다. 대표적인 맛으론 쌀, 기장이고, 비장위장과 친화력이 있어 비장길위장길을 좋게하는 맛입니다.
매운맛은 스스로 방어해서 단단하게 긴장시킵니다. 대표적인 맛으론 현미, 율무이고, 폐장대장과 친화력이 있어폐장길대장길을 좋게하는 맛입니다.
짠맛은 스스로 방어해서 말랑하고 연하게 합니다. 대표적인 맛으론 검정콩이고, 신장방광과 친화력이 있어 신장길방광길을 좋게하는 맛입니다.
떫은맛은 오미를 조화롭게합니다.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를 서로 도와주기도 하면서 맛을 좋게하고 깊게합니다.
육미의 방추억교: 추
▹ 육미의 역할: 추
육미의 방추억교: 추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는 서로 쳐들어가서 맛을 약화시킴


매추신: 매운맛은 과하면 넘쳐서 신맛으로 쳐들어갑니다. 즉 매운맛은 폐장대장과 친화력이 있으나 과하면 넘쳐서 간장담낭을 약하게 합니다.
짠추쓴: 짠맛은 과하면 넘쳐서 쓴맛으로 쳐들어갑니다. 즉 짠맛은 신장방광과 친화력이 있으나 과하면 넘쳐서 심장소장을 약하게 합니다.
신추신: 매운맛은 과하면 넘쳐서 신맛으로 쳐들어갑니다. 즉 매운맛은 폐장대장과친화력이 있으나 과하면 넘쳐서 간장담낭을 약하게 합니다.
쓴추매: 쓴맛은 과하면 넘쳐서 매운맛으로 쳐들어갑니다. 즉 쓴맛은 심장소장과 친화력이 있으나 과하면 넘쳐서 폐장대장을 약하게 합니다.
단추짠: 단맛은 과하면 넘쳐서 짠맛으로 쳐들어갑니다. 즉 단맛은 비장위장과친화력이 있으나 과하면 넘쳐서 신장방광을 약하게 합니다.
떫은맛은 오미를 조화롭게합니다.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를 서로 도와주기도 하고, 밀어내기도 하면서 맛을 좋게하고 깊게합니다.
육미의 방추억교: 억
육미의 방추억교: 억
쳐들어온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을 매운맛, 짠맛, 신맛, 쓴맛, 단맛이 억제합니다.


신억단: 신맛은 과한 단맛을 억제하고 부드럽게 이완시킵니다. 팥, 밀, 보리는 단맛을 억제하고 간장길담낭길을 좋게합니다.
쓴억매: 쓴맛은 과한 매운맛을 억제하고 따뜻하게 발산시킵니다. 수수는 매운맛을 억제하고 심장길소장길을 좋게합니다.
단억짠: 단맛은 과한 짠맛을 억제학고 뭉치고 고정시킵니다. 쌀,기장은 짠맛을 억제하고 비장길위장길을 좋게합니다.
매억신: 매운맛은 과한 신맛을 억제학고 단단하게 긴장시킵니다. 현미, 율무는 신맛을 억제하고 폐장길대장길을 좋게합니다.
짠억쓴: 짠맛은 과한 쓴맛을 억제학고 말랑하고 연하게 합니다. 검정콩은 쓴맛을 억제하고 신장길방광길을 좋게합니다.
떫은맛은 오미를 조화롭게합니다.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를 서로 도와주기도 하고, 밀어내기도 하면서 맛을 좋게하고 깊게합니다.
육미의 방추억교: 교
육미의 방추억교: 교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는 서로 도와주기도 하면서 맛을 좋게하고 깊게함


신맛과 쓴맛은 서로 도와줍니다. 즉 신맛은 쓴맛을 도와주고, 간장과담낭이 좋아지면 심장과소장도 좋아집니다.
쓴맛과 단맛은 서로 도와줍니다. 즉 쓴맛은 단맛을 도와주고, 심장소장이 좋아지면 비장위장도 좋아집니다.
단맛과 매운맛은 서로 도와줍니다. 즉 단맛은 매운맛을 도와주고, 비장위장이 좋아지면 폐장대장도 좋아집니다.
매운맛과 짠맛은 서로 도와줍니다. 즉 매운맛은 짠맛을 도와주고, 폐장대장이 좋아지면 신장방광도 좋아집니다.
짠과 신맛은 서로 도와줍니다. 즉 짠맛은 신맛을 도와주고, 신장방광이 좋아지면 간장담낭도 좋아집니다.
떫은맛은 오미를 조화롭게합니다.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떫은맛 등
육미를 서로 도와주기도 하면서 맛을 좋게하고 깊게합니다.
방추억교 전체 요약

질병에 따른 방추억교 처방
① 방: 방어하는맛 ② 추: 쳐들어오는맛 ③ 억:억제하는맛 ③ 교:도와주는맛
육미의 허실교추 원리로 방추억교하여 질병을 처방
*처방의 핵심(예시):
신맛으로 방어하고 쳐들어온 매운맛을 쓴맛으로 억제하여 신맛과 쓴맛이 서로 도와주도록 하는것
쓴맛으로 방어하고 쳐들어온 짠맛을 단맛으로 억제하여 쓴맛과 단맛이 서로 도와주도록 하는것
단맛으로 방어하고 쳐들어온 신맛을 매운맛으로 억제하여 단맛과매운맛이 서로 도와주도록 하는것
매운맛으로 방어하고 쳐들어온 쓴맛을 짠맛으로 억제하여 매운맛과 짠맛이 서로 도와주도록 하는것
짠맛으로 방어하고 쳐들어온 단맛을 신맛으로 억제하여 짠맛과 신맛이 서로 도와주도록 하는것이 처방의 핵심

간장길담낭길이 이상이 있는 경우 신맛으로 방어하고 매운맛을 쓴맛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신맛과 쓴맛을 같이 먹어줍니다.
심장길소장길이 이상이 있는 경우 쓴맛으로 방어하고 짠맛을 단맛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쓴맛과 단맛을 같이 먹어줍니다.
비장길위장길이 이상이 있는 경우 단맛으로 방어하고 신맛을 매운맛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단맛과 매운맛을 같이 먹어줍니다.
폐장길대장길이 이상이 있는 경우 매운맛으로 방어하고 쓴맛을 짠맛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매운맛과 짠맛을 같이 먹어줍니다.
신장길방광길이 이상이 있는 경우 짠맛으로 방어하고 단맛을 신맛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짠맛과 신맛을 같이 먹어줍니다.

신맛의 팥, 딸기, 부추, 식초, 오랜지 주스, 닭고기가 간장길담낭길에 도움이 됩니다.
신맛의 수수, 자몽, 상추, 술, 커피, 염소고기가 심장길소장길에 도움이 됩니다.
단맛의 기장, 참외, 미나리, 꿀, 칡차, 소고기가 비장길위장길에 도움이 됩니다.
매운맛의 현미, 복숭아, 파, 고추장, 생강차, 말고기가 폐장길대장길에 도움이 됩니다.
짠맛의 수박, 미역, 간장, 두유, 돼지고기가 신장길방광길에 도움이 됩니다.
떫은맛의 옥수수, 토마토, 버섯, 요구르트, 이온음료, 양고기가 신장길방광길에 도움이 됩니다.
증상의 원인

매운맛의 기본 역할
허실방 : 허한곳은 매운맛으로 방어해서 좋게합니다.
허실추 : 쓴맛은 매운맛으로 쳐들어가서 병들게 합니다.
허실억 : 쳐들어 간 맛은 짠맛으로 억제합니다.
허실교 : 방어한 매운맛과 억제한 짠맛은 서로 도와줍니다.
허실추 : 쓴맛은 매운맛으로 쳐들어가서 병들게 합니다.
매운맛이 부족하면 쓴맛이 쳐들어 오면서
매운맛의 성질이 허약해지고 매운맛이 역활하는 폐장대장 관련 질병이 생기는 것임


매운맛이 부족, 쓴맛이 과한 경우

매운맛은 허실교를 해서 짠맛을 도와주다가 부족해지면 추에 해당하는 쓴맛이 쳐들어와 억제되고 성질이 허약해져 폐장 · 대장의 질병이 생깁니다.
예시로 폐병이 있을때 쓴맛인 커피를 먹으면 더 심해지는 원리입니다.
좋게하는 방법

매운맛과 짠맛의 음식들을 먹어 보충해줍니다.
이때, 쓴맛은 덜 먹는 것이 좋습니다.
허실교추 원리 상세보기


虛 빌허 実찰실 交 사귈교 推밀어낼 추의 뜻으로
빈 곳은 채워주고 차면 도와주고
넘치면 빈 곳으로 쳐들어간다는 뜻입니다.
허: 부족하다, 비어 있다
실: 과하다. 차고 넘친다
교: 도와준다. 교류한다
추: 밀어낸다. 쳐들어간다
허실교 : 본래 매운맛과 짠맛은 서로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매운맛이 부족해서 생기는
폐병일 경우 매운맛인 고추를 먹으면 짠맛을 도와 매운맛이 부족해서 생긴 폐병이 빨리 좋아지는 원리입니다.
허실추 : 매운맛이 부족할때 차고 넘치는 쓴맛이 쳐들어와서 증상이 더 심해지는데 예를 들어 폐병이 있을때 쓴맛인 커피를 먹으면 더 심해지는 원리입니다.



防도울방 推쳐들어갈 추抑억제할 억 交사귈 교의 뜻으로
빈 곳은 방어하고 쳐들어간 것은 억제하면
서로 도와주게 되는 것이다라는 뜻입니다.
방 : 부족하다. 방어하다.
추: 밀어낸다. 쳐들어간다
억: 쳐들어간 것을 억제한다.
교: 도와준다. 교류한다.
방추 : 본래 폐장과 대장은 매운맛으로 부족함을 채워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매운맛이 약해지면 쓴맛이 쳐들어갑니다. 매운맛이 부족해서 폐병이 생기면 쓴맛을 먹으면 더욱 심해집니다.
억교 : 폐병이 생기면 쓴맛을 먹으면 더욱 심해집니다.
이때 매운맛과 짠맛을 같이 먹으면 서로 도와주어 폐병이 더 빨리 좋아집니다.
*처방의 핵심: 매운맛과 짠맛을 함께 처방하여 약해진 매운맛을
보충하고 쳐들어온 쓴맛을 짠맛으로 억제하는 것이 처방의 핵심임

폐장길

육장육부중 폐장을 담당하는 폐장길에는 4개의 기자리가 있으며 처음자리인 검지손가락안자리를 시작으로 손4대문자리, 어깨자리를 지나 코자리로 끝이납니다.
폐장관련 증상이 있을땐 폐장길에 흐르는 기가 허약해서 생겼으므로 아래 4개 자리를 좋게하는
감미, 감촉, 감풀기를 하면 증상이 좋아집니다.
예시로 옆구리에 통증이 있을때 옆구리위자리를 좋게하는 감미, 감촉, 감풀기를 하면 증상이 좋아집니다.

대장길

육장육부중 담낭을 담당하는 담낭길에는
10개의 기자리가 있으며 처음자리인 눈끝자리를 시작으로
꺾어지는 자리인 목우물자리, 어깨우물자리, 옆구리아래자리, 갈비끝자리, 허리띠자리, 엉덩이가운데자리, 네다섯째발가락사이자리를 통해 넷째발가락바깥자리로 끝이 납니다.
담낭관련 증상이 있을 땐 담낭 길에 흐르는 기가 허약해서 생겼으므로 아래 10개 자리를 좋게하는 감미, 감풀이, 감촉을 하면 증상이 좋아집니다.
예시로 옆구리아래에 통증이 있을때 옆구리아래자리를 좋게하는 감미, 감촉, 감풀기를 하면 증상이 좋아집니다.




네모형은 평소 엄격하고 리더쉽 성격이지만
매운맛이 부족하면 단단하게 하는 성질의 매운맛 부족으로 퍼지는 성질의 쓴맛이 쳐들어와 슬프고, 염세적인 성격으로 변합니다.
폐장길에 따른 통증
대장길에 따른 통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