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의 원인

짠맛의 기본 역할 2가지

허실추 : 단맛은 짠맛을 쳐들어가서 단맛을 약화시킵니다.

짠맛이 부족, 단맛이 과한 경우

짠맛은 허실교를 해서 신맛을 도와주다가 부족해지면 추에 해당하는 단맛이 쳐들어와 억제되고 성질이 허약해져 신장 · 방광의 질병이 생깁니다.


예시로 짠맛이 부족할 때  넘치는 단맛이 쳐들어와서 증상이 더 심해지는데 예를 들어 신장염이 있을때 단맛인 설탕를 먹으면 더 심해지는 원리입니다.

좋게하는 방법

짠맛과 신맛의 음식들을 먹어 보충해줍니다.
이때, 단맛은 덜 먹는 것이 좋습니다.

*처방의 핵심: 짠맛과 신맛을 함께 처방하여 약해진 짠맛을

보충하고 쳐들어온 단맛을 신맛으로 억제하는 것이 처방의 핵심임

허실교추 원리 상세보기

虛 빌허  実찰실 交 사귈교 推밀어낼 추의 뜻으로
빈 곳은 채워주고 차면 도와주고
넘치면 빈 곳으로 쳐들어간다는 뜻입니다.

허: 부족하다, 비어 있다
실: 과하다. 차고 넘친다
교: 도와준다. 교류한다
추: 밀어낸다. 쳐들어간다

허실교 : 본래 짠맛과 신맛은 서로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짠맛이 부족해서 생기는 신장염일 경우 짠맛인 소금를 먹으면 신맛을 도와 짠맛이 부족해서 생긴 신장염이  빨리 좋아지는 원리입니다. 

허실추 : 신맛이 부족할 때 차고 넘치는 매운맛이 쳐들어와서 증상이 더 심해지는데 예를 들어 근육통이 있을 때 매운맛인 고추를 먹으면 더 심해지는 원리입니다.

防도울방 推쳐들어갈 추抑억제할 억 交사귈 교의 뜻으로
빈 곳은 방어하고  쳐들어간 것은 억제하면
서로 도와주게 되는 것이다라는 뜻입니다.

방 : 부족하다. 방어하다.
추: 밀어낸다. 쳐들어간다
억: 쳐들어간 것을 억제한다.
교: 도와준다. 교류한다.

방추 : 본래 심포와삼초는 

덟은맛으로 부족함을 채워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떫은맛이 약해지면 매운맛, 짠맛이 쳐들어갑니다.

억교 : 가슴통이 생기면 매운맛, 짠맛을 먹으면 더욱 심해집니다.
이때 떫은맛을 먹으면 육미가 서로 도와주어  더 빨리 좋아집니다.

신장길

육장육부중 신장을 담당하는 신장길에는 6개의 기자리가 있으며 처음자리인 발바닥자리를 시작으로 안쪽복숭아뼈자리를 지나 쇄골안자리로 끝이 납니다. 

신장관련 증상이 있을땐 신장길에 흐르는 기가 허약해서 생겼으므로 아래 6개 자리를 좋게하는감미, 감촉, 감풀기를 하면 증상이 좋아집니다. 

예시로 오금안자리에 통증은 오금안자리를 좋게하는 감미, 감촉, 감풀기를 하면 증상이 좋아집니다.

방광길

육장육부중 방광을 담당하는 방광길에는 8개의 기자리가 있으며 처음자리인 눈안자리를 시작으로 꺾어지는 자리인 정수리자리, 뒷덜미자리, 허리자리, 오금자리, 바깥복숭아뼈자리, 발가장자리를 통해 새끼발가락바깥자리로끝이 납니다. 

방광관련 증상이 있을 땐 방광길에 흐르는 기가 허약해서 생겼으므로 아래 8개 자리를 좋게하는 감미, 감풀이, 감촉을 하면 증상이 좋아집니다. 

예시로 허리에 통증이 있을때 허리자리를 좋게하는 감미, 감촉, 감풀기를 하면 증상이 좋아집니다.
​​

답글 남기기

mshop plus friend talk